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풍력, 플러그인 전기자동차 및 열 저장이 전력시스템 투자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유가상승, CO2 배출의 상당한 가격 및 풍력비용의 감소로 인해 풍력이 많은 전력시스템 중에서 자장 저렴한 전력원이 될 수 있다. 풍력이 어떻게 전력생산 방식 중에 최적의 투자로 변환할 수 있고, 풍력의 다양한 전력생산이 어떤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전력 시스템 유연성을 증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제기한다.

○ 열과 전력생산을 조합하고 전기자동차를 모사한 투자 모델을 사용하여 가능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모델은 변동이 있는 풍력생산의 영향을 수용하기 위하여 시간별 규모로 진행한다. 전기자동차는 추후 사용을 위해 전기를 저장하여 전력시스템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 유연성은 열펌프, 전열 보일러, 열병합발전으로 열을 저장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결과는 열 생산과 사용이 추가적인 전력시스템 유연성을 위하여 큰 가능성이 있는 것을 보여 주었다.

○ 국내에서는 (주) 효성의 오시덕 등이 전기저장 장치가 포함된 풍력발전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에서 풍력발전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중에 하나인 변동성을 줄이는 대안으로 전기 저장장치를 포함한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풍력발전의 출력변동을 10% 내외로 줄여 계통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

○ 풍력발전 생산의 변동성이 수력발전생산 변화, 바이오매스를 사용한 열병합발전, 송전, 전기 열 보일러에서 열 생산 변화, 수소 저장과 공동으로 전기분해 공장에서 수소 생산의 변화로 처리된다. 수소저장 능력의 투자는 수송부문에서 수소 수요가 없는 시나리오에서 연간 풍력생산의 1.2%에 해당하고, 수송부문에서 수소 수요가 있는 시나리오에서는 약 4%이어서 풍력에너지 생산의 단지 작은 부분이 수소로 저장될 필요가 있다.
저자
Juha kiviluom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44~1255
분석자
신*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