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저/중 전리방사선량과 순환기계통질병 위험 간의 역학적 재조명과 그들의 메커니즘

전문가 제언
○ 원자력이나 방사선의 평화적 이용과 관련된 피폭은 거의 모두 저/중 선량 연속피폭 이라고 생각된다. 이때 저/중 선량 영향에 관한 방사선 리스크 평가를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한 현안이 된다.

○ 우리나라 원자력시설 종사자의 선량평가와 의료 피폭 환자의 인형 모의 피폭체를 이용한 유효선량 계산은 수행된 적이 있다. 그러나 대집단 ─예를 들면 자연방사선 준위가 높은 지역주민이나 원자력시설 또는 의료시설에서의 직업적/의료 피폭 그룹─에 대해 선량과 순환기계 질병 위험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역학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역학 조사에는 간섭인자(방사선이외 흡연, 음주, 식생활 차이 등의 영향)가 혼재 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므로 인과 관계의 확립을 어렵게 하기도 한다. 따라서 역학조사 자료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장기연구과제로 동물을 이용하여 저/중 선량에 의한 장해 실험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저/중 방사선량의 생물영향과 리스크를 평가할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선량과 생물영향 사이의 정량적인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국외에서 보고된 저/중 선량 피폭에 의한 순환기계 질병 리스크는 원폭 피폭 희생자를 시작으로 많은 집단에 대한 통계적인 연구에 기초하여 파악된 것으로서 질병 형태가 병리학적으로 밝혀진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오늘날 실험 기법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과거보다도 훨씬 적은 선량에 의한 변화도 생물학적으로 검출 할 수 있다. 저/중 선량의 양과 실험환경 조절이 가능한 동물실험과 세포유적학적인 연구를 병행하여 선량과 질병사이의 관계를 생물학적으로 체계화해야한다.

○ 21세기는 원자력의 이용, 방사성 폐기물, 방사성 의료 등의 증가에 따라 저/중 방사선량이 한층 더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저/중 선량 방사선이 순환기계 질병뿐만 아니라 인체에 미치는 위험성 평가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이것을 바탕으로 ICRP가 권고한 방사선 방호개념을 보완 및 재정리 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M. P. Little, E. J. Tawn, I. Tzoulaki, R. Wakeford, G. Hildebrandt, F. Paris, S. Tapio, P. Elliot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49
잡지명
Radiation and Environmental Biophys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39~153
분석자
유*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