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핵폐기물 처리 탄소강 외용기의 부식거동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은 프랑스에서 핵폐기물의 처리 또는 중간저장에 쓰이는 강제 캐니스터나 철근콘크리트의 장기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고고학적 유사물에 관한 수년간의 연구를 검토한 것이다. 본고는 여러 다른 접근법과의 상보성 및 장기예측에 관한 연구프로그램의 틀 안에서 유사물에 관한 연구의 완전한 통합을 특정방법론으로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유적에서 수집된 상당수의 가공품이 연구용으로 선정되어 이 가공품들의 상세한 화학적 및 현미경조직의 특성화를 미세선속분석기술(μRaman, μX선회절, μ라만분광법 등)과 조합함으로써 착수되었다. 부식메커니즘의 가설을 유사물에서 재부식 실험중 특정 동위원소 표시기로 시험한다.

○ OECD의 핵에너지에이전시(Nuclear Energy Agency, NEA)가 주관한 2007년1월23~2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던 “방사선 폐기물의 심층 지질처리의 안전낭 : 우리 처지는 어떤가?” 학술회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발표한(C-H. Kang, Y-M. Lee, Y-S. Hwang) 논문 “한국에서의 지질 저장소 안전낭의 개발”을 여기에 간략하게 소개한다.

? 1978년 4월 이래, 한국은 전력생산에 핵에너지에 크게 의존한다. 한국에서는 현재 20기의 원자로가 가동 중이고 또 4기의 원자로가 건조중이다. 낡은 원자로가 폐쇄하지 않는다면, 2017년에는 28기의 원자로가 가동하여 원자력 점유율이 47.6%가 될 것이다.

? 한국원자력 연구원은 2006년까지 HLW용 참조지질저장소 개발을 위해 3단계 10개년 R&D 프로그램을 1997년에 착수하였다. PWR과 CANDU 사용 후 연료용 예비참조저장소개념이 제안되었다. 동시에, 확률적 안전평가를 위한 총괄시스템평가코드도 만들고, 총괄시스템평가(TSPA)를 하기위하여 FEP(Features, Events & Processes)목록의 체계적인 개발을 추구하였다. KAERI FEP 백과사전에 근거하여, 참조와 대안시나리오가 완성되었다. KAERI가 제안한 현재의 처리개념으로 방사선 방출 시나리오 결과는 안전기준을 충족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
D. Neff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402
잡지명
Journal of Nuclear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96~205
분석자
김*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