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에탄올 발효 부산물 CO2 재활용

전문가 제언
○ 최근 화석연료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지구온난화 및 기상변화의 주범으로 크게 우려되고 있는바, 이산화탄소의 대기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해소할 수 있는 한 방안으로 발효 에탄올 연료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본 분석보고서는 발효 에탄올 제조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회수하여 산업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능성에 대해 잘 정리하고 있다.

○ 에탄올 발효 부생 이산화탄소는 고농도 고순도로 일견 매우 유용한 재생자원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산업적으로 재활용되기 위해서는 그 수요처가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어야 하는 제약 조건이 있는바, 이의 해소가 재활용 확대의 관건이다. 한편 CO2 고정매체를 제철 슬래그와 같은 산업폐기물을 사용해야만 경제성이 있으므로 효율적인 CO2 고정방법에 더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특히, 조류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고정화 및 이로부터 바이오 연료를 생성하는 개념은 매우 유망한 분야로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조류 농장과 발효 에탄올 제조 공장이 인접해야만 경제적으로 의미가 있는바,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추가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현재로서 에탄올 발효 부생 CO2의 가장 유망한 사용처로는 석유채굴의 효율을 증대하기 위해 CO2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기 카보네이트의 합성원료로 사용하는 것과 함께 향후 기대되는 분야이긴 하다. 하지만 역시 관건은 포집과 저장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이 분야의 더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자
Yixiang Xu, Loren Isom, Milford A. Hann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101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311~3319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