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협력의 장애를 감소시키는 요인의 분석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산학협력의 장애를 감소시키는 요인의 분석”을 주제로 하여 서언, 산학협력에 관련된 장애, 산학협력의 장애를 경감하는 요인, 데이터와 측정 및 방법, 연구의 결과, 시사점 및 향후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학의 지향성에 관련되는 장애와 협력파트너와의 거래에 관련되는 장애를 감소시키는 요인들 간의 상이한 메커니즘의 영향을 탐구하고 산학협력에 대한 장애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과의 협력연구의 선행경험이 ‘지향성 관련 장애’를 감소시키고 높은 수준의 조직 간의 신뢰는 장애의 두 가지 유형 모두를 감소시킨다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호작용 폭의 확대는 ‘지향성 관련 장애’를 감소시키지만 ‘거래관련 장애’를 증가시킨다고 제시한 점이 주목되며 본 연구는 산학협력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정책에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오늘날 기업가적 대학과 개방형 R&D의 확산으로 산학협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국의 정부지원이 확대 추세에 있다. 산학협력은 대학과 산업체가 상호 협력하여 산업체의 수요와 미래의 산업발전에 부응하는 인력양성, 새로운 지식기술의 창출 및 확산을 위한 연구개발, 산업체로의 기술이전과 산업자문을 행하는 활동으로서 고부가가치화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 산학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산학협력의 장애요인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산학 간 상호작용의 관리를 위한 메커니즘의 규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 우리나라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과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등에 의거 그동안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그 성과가 선진국과 비교하여 크게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산학협력의 촉진을 위한 정부의 신중하고 효과적인 정책 및 재정적 지원조치가 필요하며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산학협력의 장애요인 극복을 통해 대학의 지식자산이 더욱 산업계에서 활용되어 우리의 산업기술역량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Johan Bruneel,Pablo DEste,Ammon Salt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39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858~868
- 분석자
- 김*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