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분석 크로마토그래피
- 전문가 제언
-
○ HPLC는 1970년대 중반에 개발되어 컬럼 충전제 및 온라인 검출기 등이 급속히 개선되었으며, 그 후 역상 HPLC가 출현되어 유사한 성질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1980년대 까지 HPLC는 화합물을 분리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 중의 하나가 되었다. 그 후 컬럼 형태 및 재현성 등이 개선되어 마이크로 컬럼 및 고속 HPCL 등이 출현되기 시작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많은 양의 마이크로 컬럼 및 기타 특수화된 컬럼이 개발되어 분리시간이 단축되고 용매 사용량 및 폐기물량이 감소하게 되었다.
○ 친환경 화학 개념이 공정개선 및 폐기물 감소 등에서 실험실 기술에까지 적용됨에 따라, 친환경 분석화학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친환경 분석화학은 대부분 시료처리 및 분석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친환경 분석 크로마토그래피에서 3 “R”(Reduce, Replace 및 Recycle)이 흔히 언급되고 있는데 이것은 고정상의 입자 크기 및 컬럼 내경을 줄여 분리시간을 단축하여 용매 사용량을 줄이고, 기존의 용매에서 보다 더 친환경적인 용매로 교체하는 것, 그리고 사용한 용매를 재사용하는 것이다.
○ 최근에는 충전제의 입자를 sub-2μm 까지 줄이거나, 여기에 다공성 실리카를 입힌 특수 충전제, "Fused-Core 입자“가 개발되었다. 또한 컬럼 내경을 300μm 까지 소형화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고속 또는 초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분리 시간이 단축되어 폐기물 발생량이 현격히 감소되었다. 그리고 독성, 인화성 등이 있는 용매를 친환경 용매인 에탄올, 물 및 이산화탄소 등으로 교체하고 있으나, 용매 재사용 기술은 분석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 HPLC가 제약 산업뿐만 아니라 생물공학적, 생물 의학적 및 생화학적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분야 외에 화장품, 에너지, 식품 및 환경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제품의 성분 정보를 향상시키는 것 외에, 시료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초고성능 HPLC 등 빠른 분석 및 시스템의 자동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많은 분석 물량에 대한 용매 소비량 및 폐기물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친환경 분석기술이 더욱 요구된다.
- 저자
- Christopher J. Welch, Naijun Wu, Mirlinda Biba, Robert Hartma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29(7)
- 잡지명
-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67~680
- 분석자
- 조*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