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식흡수능력: 개념화와 측정을 위한 새로운 통찰

전문가 제언
○ 외부지식을 흡수하는 과정은 경쟁적 환경에서 기업이 혁신과 변화에 적응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Cohen과 Levinthal에 의해 흡수능력의 개념이 소개된 이후 20여 년간 많은 학자들이 논의를 하고 있지만 아직 정의나 모델 등이 개발 중이며 특히 이론적 영역과 차원에 관한 명확한 구성개념의 정의와 타당성 검증에 관하여는 미비하다.

○ 이 연구의 목표는 지식능력 구성개념의 주요 요소들을 측정하는 척도의 설정과 검증을 통하여 흡수능력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인바 이 척도들은 철저한 문헌분석을 통하여 정당화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제안된 척도들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흡수능력을 측정하는데 흔히 사용되는 도구로서의 신뢰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 잠재흡수능력은 지식의 획득과 동화 차원으로 구성되며 실현흡수능력은 지식의 변형과 이용 차원으로 구성된다. 잠재흡수능력은 경영의 유연성과 자원 및 능력의 개발을 통하여 경쟁력 우위에 영향을 미치고 반면에 실현흡수능력은 신제품과 신공정의 개발을 통하여 그 영향을 미친다. 앞으로의 실증적 연구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역동적 능력의 전체 세트와 관련하여 이들을 이론적으로 더 상세히 조사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내적 지식 창출능력과 혁신능력 및 그들 사이의 상호관계 등이다.

○ 잠재흡수능력과 실현흡수능력을 위해 구성된 척도들을 비교함으로써 얻은 실증적 결과들은 대체로 타당하고 다종산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했기 때문에 결과가 신뢰할 만하다. 그러나 이 연구는 스페인기업의 표본만을 사용한 점에서 이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 지식흡수능력 이론이 처음 소개된 지 겨우 20년에 불과하여 우리나라에서 이에 관한 문헌은 매우 드물다. 그러나 오늘날의 지식기반사회에서 경쟁적 우위를 점하기 위한 총체적 노력에서 이 분야에 관한 연구는 인적자원에 의존도가 큰 우리나라 경제?사회구조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저자
Cesar Camison, Beatriz For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63
잡지명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707~715
분석자
김*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