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VOC 문제에 대응한 접착제 선정법 및 개발 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 건축물의 기밀화 및 건축자재나 내장재의 사용 등으로 새집증후군이 문제시 되고 있다. 이는 건축자재나 접착제 등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 이 리뷰는 접착제 중의 VOC 관련 법규제의 최근 동향과 함께 기존 용제형 접착제의 수성화의 상용화 예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환경 친화적인 접착제의 개발 및 선정 시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 미국, EU, 일본, 대만 등은 관련 정부기관 및 민간단체들의 활발한 활동에 의해 이미 실내공기 질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마련했으며 각종 VOC에 관한 문제의 심각성을 엄중 경고하고 있다.

○ 한국은 위 국가들에서 이미 실내 사용을 금지한 E2 등급의 목질판상 제품이 70% 이상 사용되는 실정이다. 또한 이들 국가에서 사용면적을 엄격히 제한하는 E1급을 친환경 수준으로 규정한 것도 문제이다.

○ 최근 국립환경과학원 및 기술표준원 등의 국가기관을 중심으로 VOC에 대한 대책 및 친환경 제품에 대한 규제에 나서고 있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새집증후군이 없는 주택건설을 위해 ‘청정건강주택 건설기준’을 마련해 오는 2010년 12월 1일부터 시행하며 건설업체도 친환경 자재 선정, 환기시스템 변경 등을 추진 중이다.

○ 실내 공기질의 문제는 가구에 사용된 접착제가 핵심이다. 현재 국내의 가구, 건축자재의 대부분이 포름알데히드 등이 방산되는 접착제를 사용한 가공품이다. 기관별로 상이한 VOC의 측정법과 기준도 업계 측면에서의 친환경 대응을 지연시키는 요인이다. 따라서 관련기관은 하루빨리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접착제, 건축자재, 가구의 제조업체에서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해 주길 바란다. 또한 기술표준원의 인증을 받은 접착제 다수에서 최근 톨루엔이 다량 검출되는 등 인증 이후의 철저한 사후관리와 함께 성분 표시제도의 도입도 시급하다.
저자
Matsuura Nobu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58(2)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8~62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