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바이오에탄올 개발과 농업경제의 잠재적 영향
- 전문가 제언
-
○ 중국은 미국과 브라질 다음으로 세계 3번째 바이오에탄올 생산국이다. 본고는 중국의 현재 바이오에탄올 프로그램과 향후 추세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 그리고 농업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가능한 몇 개의 농작물이 있지만 원료생산용 토지부족은 바이오에탄올 확대의 주요 제한이 되고 있다.
○ 세계적인 바이오연료 생산의 급속한 확대는 중국 정부의 식량안보를 위협할 정도로 2007년과 2008년 사이에 식품 가격이 상승하였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2007년부터 옥수수와 밀을 바이오연료 생산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 한국에너지 기술평가원이 주관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사업에 감귤 바이오에너지사업이 최근 선정되었다. 감귤 바이오에너지사업은 감귤 주스를 만들고 남은 부산물과 비-상품 감귤 등을 이용해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것으로, 제주대는 감귤 바이오에너지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생산에 대한 실증 연구를 맡게 된다.
○ 바이오에탄올은 고유가와 지구온난화의 공포 속에서 세계 주요 국가들이 석유의존도를 낮추려고 앞 다퉈 개발에 나서는 대체에너지로, 기존 휘발유나 경유와 비교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30∼40% 줄이는 효과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향후 농가 소득 증대, 감귤폐기물 처리비용 절감 등 경제적 효과는 물론 온실가스 감축과 제주도의 친환경 청정 이미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국내 기업이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조류를 이용해 바이오에탄올을 제조하는 기술은 옥수수나 사탕수수 등을 활용하는 것과 생산 공정이 비슷하지만 부족한 식량자원을 사용해 에너지를 만든다는 비판에서 자유롭고 원료 값이 저렴해 경제성이 뛰어나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 저자
- Huanguang Qi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87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6~83
- 분석자
- 한*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