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관상동맥 심장질환에 미치는 타우린의 유력한 예방효과

전문가 제언
○ Taurine(2-aminoethanesulfonic acid, H2NCH2CH2SO3H)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주요 담즙산과 결합하여 담즙산염을 만들고 이 염들은 소장에서 지방질을 유화시킨다. 최근에 타우린은 관상동맥 심장질환(CHD)의 원인인 고지혈증, 고 콜레스테롤 및 고혈압 등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 타우린은 체내에서 합성되는 양이 매우 적으며 필요한 양은 주로 식품에서 얻는다. 우유와 유제품의 타우린 함량은 낮으나 갑각류 특히 가리비, 홍합, 대합조개에 많이 들어있다. 또한 칠면조와 닭의 검게 구운 고기에 많이 들어있다. 어른의 필요한 일일 타우린 섭취량은 40~400mg 사이로 추정된다.

○ 타우린에 대한 실험은 주로 실험관내와 동물에서 실시되었으며 대인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타우린 공급(0.25~50mg/Kg)은 대조군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다른 연구에서도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VLDL 콜레스테롤이 두 배 가까이 감소하였다. 타우린은 안기오텐신 II 신호전달을 감쇠시킴으로써 혈압을 저하시키며 또한 에피네트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수준도 낮춘다.

○ 동맥경화증은 산화 염증과 관련된다. 그런데 타우린은 항산화성과 항 염증성을 나타내어 동맥 경화증을 예방할 수 있다. 타우린은 체내의 강한 산화제인 하이포아염소산(HOCl)과 반응하여 훨씬 안정한 화합물로 변화시킨다. 이밖에도 타우린은 동맥경화증과 관련 있는 세포 간 부착분자-1(ICAM-1)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생산을 하향 조절한다.

○ 일부 사람에게 행한 연구에서도 타우린은 동물실험에서처럼 혈압 감소나 콜레스테롤 감소를 나타냈으나 자료 부족으로 단정적으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앞으로 더 조직적이고 다양한 연구결과가 나오면 타우린의 효과는 명확해질 것이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결과를 참고했을 때 타우린은 공중보건을 위해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매일의 식생활에서 타우린의 섭취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저자
Oktawia P. Wojci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08
잡지명
Atherosclerosi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9~25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