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부의 벼 두 품종 중 As의 집적과 P의 상태
- 전문가 제언
-
○ 비소는 발암성이 매우 높고 독성은 산화환경의 As3+가 환원환경의 As5+보다 강하며, 비산, 아비산, 비화수소 등의 화합물은 모두 맹독성이다. 중독형상은 발암 외에 체중감소, 지각장애, 빈혈, 구토, 부종 등을 일으키고 혈압강하, 혼수, 경련 등으로 사망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음용수나 음식을 통하여 인체에 흡수되는 길을 차단하여야 하는데, 쌀은 세계 특히 동남 아세아 인구 절반 이상의 중요 식량이며, 하루 식량습취로 공급되는 에너지의 70%, 단백질의 50%이상을 점하기 때문에 재배과정에서 벼의 As 집적은 심각한 문제로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 본 글은 중국 관동에서 재배하는 고품질의 Indica와 생산량이 높은 잡종(Indica x Indica)의 두 벼 품종을 대상으로, 벼의 부위별 As 농도, 토양과 벼의 As관계, 토양에서 벼로 As의 이동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것이므로 쌀을 통하여 As가 인체에 흡수되는 길을 차단하는데 도움이 되고 또한 토양에서 As를 제거하는 식물로서 활용하는데도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그러나 농토 중 As의 공급원이 되는 근원 물질의 광물학 및 지화학적 성질에 대한 연구가 다루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 연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토양 중 As의 집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As의 이동과 흡착에 중요한 Fe수산화물 등의 영향에 대하여도 연구되어야 한다.
○ 국내에서는 시중의 쌀 중 총 As 함량에 대한 식약청의 자료 (0,075- 0.255 g/g)는 있으나, 농토와 벼의 As 집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별로 알려진 바 없으므로, 벼 농사지역을 대상으로 토양과 벼의 As 집적과 인체에 미친 영향도 조사하여 아세아 지역의 조사 자료와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Ying Lu, Fei Dong, Claire Deacon, Huo-jin Chen, Andrea Raab, Andrew A. Mehar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58
- 잡지명
- Environmental Pol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36~1541
- 분석자
- 이*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