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S 상용화 기술의 현황 및 전망
- 전문가 제언
-
○ 1980년대에는 MEMS가 지금까지 전자기술의 핵심인 반도체 기술을 진흥시켰고, 1990년대 후반부터 영상(display)의 물결, 2000년부터 MEMS센서와 액추에이터의 물결이 일어나고 있다. MEMS의 시장규모는 2005년 55억($)달러, 2007년에는 70억($)달러 이상이다.
○ MEMS는 넓은 범위의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자동차 에어백(air bag), 도난방지 제어, 타이어 회전방향 검출 등 자동차 탑재용, 조이스틱(joy stick), 경사검출, 게임 및 개인용 컴퓨터(PC), PDA(Personal Data Assistance), LCD(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터 등 IA (Information Appliance), 가중제어, 장난감 로봇, 자세제어 로봇, 진동검출, 지진감지, 가스석유 파이프라인 보수, 엘리베이터, 침입경비와 같은 안전대책 등에 MEMS의 응용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 앞으로는 저소비 전력, 무선, 다기능 기술을 접목하여 센서네트 방재재해, 방범안전, 바이오계측, 식?농업, 의료복지?건강관리?생체계측, 시설제어, 빌딩시스템, 환경보전, 교통, 사무?업무 등의 분야에도 MEMS의 이용이 확대될 것이다.
○ MEMS의 제품화를 위해서는 단지 제어에만 한정하지 않고 온도보상 등 환경상태의 모니터링 결과도 피드백(feed back)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LSI와 MEMS 구조의 융합이 불가결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상태로서는 LSI처럼 시장이 크지 않기 때문에 경합에 의해 함께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다품종 소량 제조가 가능한 제조시설이나 설계시스템 만들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 MEMS의 획기적인 기술이 종래 물건의 기능이나 성능을 극단으로 향상시킨다. 본문의 대표적인 MEMS제품에 표시한 것처럼 많은 용도에 적용 가능성이 보이므로 이 분야 기술자의 양성과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Renshi SAWADA and EiJi HIGUR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76(5)
- 잡지명
- 精密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91~497
- 분석자
- 남*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