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균류와 도시환경

전문가 제언
○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도시가 성장하면 일반적으로 농촌과 야생지역은 시가지역과 녹지 가운데에 단절된 토종식물 부분만 남긴 새로운 식물과 건축물을 가진 지역으로 바뀐다.

○ 최근에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은 종이 감소했는지를 관찰하는 것이 생물학자들에게 주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 균류의 경우에 그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균류의 다양성이나 생태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균류는 150만 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7만2천 종만이 소개되고 있다.

○ 지구상에 자라는 대부분의 식물뿌리를 보면 균사가 뿌리를 감싸고 있다. 이렇게 작물 뿌리를 둘러싸서 같이 공생하는 균근균 종류는 나무뿌리의 표면적을 700~1,000배로 확대한다. 이들은 수 미터나 되는 아주 먼 거리에서도 인을 수확하여 균류 네트워크를 통해 운반할 수 있다.

○ 나무의 잔뿌리 역할을 대신하는 버섯균의 경우에는 토양의 각종 영양분을 흡수하게 하고 가뭄에도 토양의 수분을 넓게 이용한다. 국내에서도 이 버섯균을 대량 배양해서 헬기로 산림에 액체 상태로 살포하는 방법이 실용화되었는데, 화학비료에 비하면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지만 친환경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 도시환경의 특성들이 균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세계적으로 균류 종의 감소 정황은 균류 보전의 필요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 향후 균류의 다양성과 생물학적 역할, 그리고 균류의 다양성과 기능에 대한 인간 활동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Mark Newbounda,b, Michael A. Mccarthya,b, Teresa Lebel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96
잡지명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8~145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