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방법으로 제조한 1,3-Propanediol을 이용한 백분발생이 적은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의 제조방법
- 전문가 제언
-
○ 섬유 및 플라스틱 용도로 사용되는 포화폴리에스테르로 PET와 PBT는 오래 전에 개발되어 대량생산되고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과 비슷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는 PET 및 PBT와는 차별화된 물성을 갖고 있어 새로운 폴리에스테르로 기대를 받고 있었으나 원료인 1,3-Propanediol의 상업생산이 되지 않아 상품화가 지연되었다.
○ 미국 듀폰사에서 생물학적방법으로 1,3-Propanediol을 대량생산 하면서 PTT는 섬유, 필름, 플라스틱용도로 상업생산 되기 시작하였다. PTT는 PET에 비해 탄성이 좋고 염색성이 우수한 등의 성질을 이용하여 기존의 PET, PBT와는 차별화된 상품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 PET, PTT 등의 폴리에스테르는 중합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올리고머가 발생되며 이들 올리고머는 가공공정에서 연기발생, 생산기기오염, 제품의 물성저하 등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PTT를 중합할 때 1,3-Propanediol보다 반응성이 낮은 단량체를 중합시스템에 소량 첨가하여 올리고머의 발생을 낮추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에 의해 PTT에 각종 단량체를 공중합 시키는 것은 모두 듀폰사의 특허에 저촉되므로 많은 국내외업체들이 영향을 받게 될 것 같다.
○ 국내 폴리에스테르업계는 중국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져 점점 생산량이 줄고 있는 상태이다. 국내 폴리에스테르업계는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PTT를 개발하여 대량생산하고 있다. 중국에 가격경쟁력이 아닌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본 특허와 같은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PTT에 관해서는 기존 폴리에스테르 특허에 포함되어 있어 PTT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특허가 될 수 없다. 듀폰사에서는 백분발생이라는 데 초점을 맞추고 1,3-Propanediol보다 반응성이 낮은 단량체라는 새로운 정의를 도입하여 특허등록하기 어려운 PTT제조방법을 특허로 등록하였다. 국내업체들도 이러한 선진 특허전략을 연구하여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7790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1
- 분석자
- 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