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 및 Ti 합금 임플란트의 부식, 피로 및 부식 피로 거동
- 전문가 제언
-
○ 임플란트는 치아를 대체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손상된 관절의 기능을 대체하는 인공관절이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 2009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한 국내 치과 임플란트 관련 기술보고서에 의하면, 2006년 기준 우리나라 성인의 임플란트 장착 수는 734,026건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재료 시장 규모는 2008년 한 해 매출액만 2천300억원 정도이다.
- 한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밝힌 무릎 인공관절 수술건수 추이 통계에 따르면, 2003년 2만 4,451건에서 2007년 총 4만 9,173건으로 5년간 무려 101.1%가 늘어났다.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의 증가속도로 볼 때 인공관절 시술건수도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며 따라서 임플란트 관련시장의 중요성이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 임플란트는 한번 손상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수술회복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임플란트의 수명은 인공관절수술 선택에 큰 인자가 된다. 금속제 임플란트의 인체내 환경에서의 부식, 피로 및 부식피로의 거동에 관하여 검토한 Fleck의 논문은 금속제 임플란트의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인공관절시술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재질은 금속재료, 플리스틱, 세라믹 등이 있다. 하지만 금속계열은 장시간 사용 시 열에 의한 팽창과 부식에 약하고, 플라스틱의 경우 마모에 의해 골 용해(osteolysis)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세라믹의 경우 마모의 정도는 매우 적으나 잘 깨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 최근 관절 연결 부위에는 마모와 마찰에 우수하고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또는 특수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재수술로 인한 신체적 통증과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플라스틱이나 세라믹의 경우 부식의 영향은 적겠지만 반봇하중에 의한 피로파괴의 영향은 존재하므로 플라스틱 및 세라믹재질의 임플란트에 관한 피로파괴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저자
- Claudia Fleck , Dietmar Eifl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32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Fatigu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29~935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