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형상기억 재료의 종류와 최근 발전 동향

전문가 제언
○ SMA와는 달리 고분자재료의 형상기억 작용 기구는 폴리머 네트워크가 가진 결합의 특성인 본질적 탄성 때문이며 따라서 고탄성 변형(대부분의 재료에서 200% 이상의 변형), 저비용, 저밀도 및 잠재적인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생물분해성의 장점을 가진다.

○ 국내 산업계 개발현황을 살펴보면 의료용 금속재료업체인 바이오스마트는 2000년도에 서울시립 보라매병원 연구진과 공동으로 분말야금법에 의해 골절치료용 형상기억합금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한 바 있고 또한 메타텍은 형상기억합금 열처리 가공기술을 바탕으로 안경부품, 브레지어 와어어에서 안테나부품 및 액추에이터 등 전자부품으로 응용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진성기업(주)은 외산 형상기억합금 봉재를 활용하여 와이어를 제조하는 공정기술을 개발하여 치과 교정용 와이어, 안경테, 여성 속옷용 와이어 등에 응용하고 있다.

○ 현 국내 기술개발현황을 요약하면 최근까지 주로 학계나 연구기관 (7개 대학과 두 개 연구기관)에서 학술적인 규모로 주로 Ni-Ti계 합금에 대한 기초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며 기업에서도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주로 Ni-Ti 원소재를 수입하여 일부 가공을 거쳐 제품을 생산하는 단계로서 선진외국의 연구개발 및 생산실정에 비추어보면 국내는 아직 학술적이며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 형상기억 고분자재료의 경우는 금속에 비하여 다양한 재료와 다양한 용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연구개발 및 산업에의 적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한 가지 특기할 것은 GS전선에서 형상기억 고분자재료를 이용하여 수축튜브(Shrinkage tube)를 생산하여 케이블 연결부위에 둘러싼 후 가열하여 수축하게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케이블을 연결하고 있다.

○ 이상과 같이 형상기억재료는 다방면에 응용성을 갖고 있으나 국내에서의 연구와 산업생산은 외국에 비하여 너무 미약한 상태로 보다 더 활성화된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기능을 갖는 여러 종류의 신소재 개발 및 산업생산이 요망된다.
저자
W.M Huang, Z. Ding, C. C. Wang, J. Wei, Y. Zhao, H. Ournawal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13(7)
잡지명
Materials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4~61
분석자
남*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