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전략이 R&D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탐구
- 전문가 제언
-
○ 경영환경의 역동적인 변화와 무한경쟁사회에 적응하여 성공적인 사업을 영위하려면 조직체에서 혁신이 필수적인 바 그 혁신에 따른 변화에는 조직성과의 기대와 조직 갈등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런데 혁신이 이루어지려면 혁신의 주체인 R&D 종사자들의 혁신직무 만족도에서 긍정적 신호가 있어야 하는데 그러려면 혁신에 의한 조직성과는 물론 혁신(변화)에 따른 갈등의 긍정적 영향과 갈등의 관리 등 R&D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들이 최적화되어야 할 것이다.
○ 여기에 소개한 연구는 혁신 즉 Product(생산물: products와 services)혁신과 Process(처리과정)혁신이 각각 조직성과와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또 혁신에 따른 조직성과와 조직 갈등이 R&D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결국 조직의 혁신전략과 R&D 종사자의 직무만족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그 결과 생산물(Product)혁신은 조직성과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처리과정(Process)혁신은 R&D 종사자들 사이의 갈등(해결)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데 R&D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은 갈등(해결)보다는 조직성과이므로 조직체가 R&D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혁신을 촉진하려면 처리과정혁신보다는 생산물혁신에 더 힘쓸 것을 시사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직무만족도는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직무자체 또는 주변 환경과 관련하여 개인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가치 그리고 태도나 신념 등의 수준이나 차원에 따라 느끼는 만족의 정도이다. R&D 종사자들은 혁신활동이 그들의 직무만족을 촉진하는 경우에 혁신에 전념, 헌신하게 되므로 조직체는 R&D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최대화하는 혁신전략의 실행이 필요하다.
○ 기업에 대한 시각에서 수행된 많은 혁신관련 연구들에 비하여 이 연구는 혁신의 주체인 R&D 종사자에 대한 시각에서 수행된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제시한 내용이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은바 그것이 우리의 실제에 대하여도 구체적 타당성이 있는지는 타진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Cheng-Feng Cheng, Meng-Kuan Lai, Wann-Yih W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30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59~470
- 분석자
- 송*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