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녹지 공간 활용의 요인분석

전문가 제언
○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된다. 따라서 정책결정자는 시민의 휴식·여가공간의 분포·이용 관련문제에 관심을 둔다.

○ 도시계획가, 보건정책 담당자가 녹지 공간의 중요성을 제기한다. 덴마크에서 주민 인터뷰로 녹지 공간의 이용에 대해 연구했다. 녹지 공간을 어떻게 이용하고, 그 활용에 무엇이 중요하며 활용을 제한하는 요인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다. 덴마크 사람은 녹지 이용이 용이하다. 응답자의 66.9%가 녹지 공간에서 300m 안에 살며 43%는 매일 녹지에 가고, 91.5%는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간다.

○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삼림면적이 넓으나 인구밀도가 높고, 도시는 인구가 과밀하여 대도시의 녹지 공간은 제한적이다. 도시인구의 비율이 높으며 도시민의 삶에 녹지 공간은 중요하다. 환경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일부로 녹색도시 조성을 계획했다.

○ 인구밀집 지역에서 건물 사이의 좁은 땅에 녹색 쌈지공원을 조성하고 병원, 공단, 요양소 등 주변에는 생활환경 보호·유지용 숲을 조성·관리하려는 것이다. 도시 숲은 주민에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며, 도시 열섬효과를 완화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생물종 다양성 증진에도 기여한다.
저자
Jasper Schipperijna, Ola Ekholmb, Ulrika K. Stigsdottera, Mette Toftagerb, Peter Bentsen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95
잡지명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0~137
분석자
황*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