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기술의 최근의 발전 현황
- 전문가 제언
-
○ 용접기술이 지향하는 목표는 결함이 없는 고 신뢰성의 제품, 변형을 최소화하여 정밀도가 높은 제품, 작업의 생산성 향상, 작업공정의 클린(Clean)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해설에서 다룬 FSW와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은 다른 용접법에 비해 탁월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 그 응용분야가 빠르게 확산될 것이다.
○ 국내에서는 FSW에 관한 논문은 다수 발표되고 있으나 유럽이나 일본에서 실현되고 있는 자동차산업이나 항공기엔진 분야에 실제 적용사레는 매우 희소하다. 한편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은 조선 산업에서 외국에 비해 더 앞선 비율로 응용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 조선 산업을 위시한 자동차, 원자력, 항공우주 산업과 같은 제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용접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제작비용 절감이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FSW나 레이저?아크하이브리드 용접법의 적용을 확대해 나가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 앞으로 FSW의 경우 스테인리스강재 접합, 이종재 접합 분야에 많은 연구 개발노력이 필요하고 레이저?아크하이브리드용접의 경우는 500MPa급 이상의 고강도 후강판의 용접, 자동화 로봇화에 대한 응용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 저자
- Surendar Marys and Andrey Gumenyu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79(4)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92~298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