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전기전자기기 재활용 유해물질의 영향

전문가 제언

○ 도시 폐기물과 생활 폐기물은 중금속과 유기물질의 추출·회수기술의 발달에 따라 도시 광산의 자원으로 떠오른다. 그 중에서도 폐전기전자기기(WEEE)는 금, 은, 동, 니켈, 리튬, 망간 등의 고가 금속류와 플라스틱 자재의 보고다.

○ WEEE가 도시 광산자원으로 재활용하려면 먼저 양이 충분해야 한다. 광산(鑛山)이란 광맥(鑛脈)이 산(山) 같이 만은 것이 기본이다. 어떠한 희귀금속이나 귀금속 등의 자원도 양이 많아야 한다.

○ 중국과 인도의 WEEE 재활용은 아직 도시 광산으로서 자원개발은 시도하지 못한다. WEEE가 방대한 국토·인구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시화와 산업화가 가속화될수록 WEEE의 집중화도 증대되므로, 일정한 지역에서 광맥과 광산을 형성하게 된다.

○ 우리 환경부에서는 폐자원활용 10개년 계획을 2009년 9월 수립하여, 재활용산업 허가단계를 2단계에서 1단계로 축소시켰고, 2013년까지 3,120톤의 금속자원 회수를 계획하고, 휴대전화기, 노트북PC 등의 EEE에서 리튬을 회수하고, 2020년까지 1조 9,417원을 투자해 폐 금속자원의 재활용 제도와 기술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계획이고, 2010년 말까지 권역별 자원 순환 망 마스터플랜을 수립 추진 중이다.

○ 중국이나 인도와 마찬가지로 우리도 도시 광산의 광맥, 광상(鑛床)으로 WEEE를 이용하려고 계획하지만. 광산의 광맥으로 성립할 수 있는 양을 고려해야 한다. WEEE를 권역별로 V자, U자 계곡에 비축해 두고, 비산분진, 대기오염, 폐수처리 등의 환경문제와 Pb, PBDEs, PCDD/Fs 등으로 인한 건강문제와 위해성을 동시에 연구?대처해 가면서, WEEE 회수?재활용의 신기술을 개발하고, 회수 기업과 재활용 산업체의 산업단지(産業團地)를 조성하고, 회수·재활용 연관 산업체를 유치하여, 대규모의 WEEE 재활용 산업단지로 발전시켜야, WEEE 재활용의 경제·기술·경쟁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자
Alejandra Sepulveda, Mathias Schleup, Fabrice G. Renau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0
잡지명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41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