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애인 지원 시스템

전문가 제언
○ 복지사회의 진전으로 스스로 일상생활이 불가능한 장애인 및 고령자를 보살피기 위해 가족을 대신하는 도우미의 수요가 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가족이나 도우미를 대체할 수 있는 장애인이나 노인 지원 시스템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 특히 손이나 팔에 중증장애가 있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식사나 양치질과 같은 필수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보다 조작이 편리하고 신뢰성이 있는 식사보조 로봇과 같은 형태의 장애인 지원 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 이 발명에 의한 지원 시스템은 손과 팔에 장애가 있는 사람의 얼굴에 투명 스티커와 같은 마크를 부착하거나 카메라 등으로 마크를 투영한다. 장애인은 로봇 팔을 원하는 동작으로 작동하기 위해 이에 해당되는 얼굴표정이나 머리를 움직인다. 이 결과 얼굴에 있는 마크의 위치가 변하고, 카메라에 의해 마크의 위치변화가 탐지됨으로써 제어시스템을 통해 로봇 팔(robot arm)이 구동된다.

○ 우리나라는 ‘지능로봇 프런티어 사업(지식경제부) 등과 같은 공공지원 아래 로봇 관련 기업, 대학(KAIST, 연세대학교 등) 및 연구소(KIST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도우미 로봇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로봇에는 보행보조 로봇, 가사도우미 로봇, 휠체어 로봇, 노인의 혈압?맥박을 체크하는 실버로봇 등이 있다. 외국 중 특히 일본은 2000년대 초반의 턱에 의한 조이스틱 방식의 식사도우미 로봇 개발 등 로봇기술에서 앞서나가고 있다.

○ 도우미 로봇과 같은 장애인 지원 시스템에 있어 로봇 제어기술은 시스템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작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얼굴?머리?어깨의 동작, 근육신호와 같은 종래기술의 개선은 물론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정하는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등 새로운 기술개발도 필요하다. 기타 지능형 로봇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확대가 요구된다.
저자
Shafir, Aaro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WO20100044073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1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