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의 미래시장
- 전문가 제언
-
○ 지구의 석유자원 고갈과 화석연료에 의한 환경문제가 세계적인 문제로 부각되면서 환경 친화적인 재생연료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 디젤은 높은 발화점과 좋은 윤활성을 가지고 있고 독성이 없으며,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연소과정에서 독성이나 유해 배출물이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 바이오 디젤은 비식용성 야채오일로부터 추출하여 에스테르화한 바이오연료를 디젤연료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생산한다. 향후의 바이오 디젤에 대한 기술개발은 바이오 디젤의 생산 효율이 이미 높은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에 변환과정과 수율의 개선보다는 작물의 재배과정과 유전공학을 적용하여 작물의 오일 함량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미국은 2010년까지 바이오에너지 및 화학연료 생산량을 현재의 3배로 늘리고 2020년까지는 바이오메스로부터 생산된 제품에 의해 대규모로 대체할 계획으로 2030년 바이오 디젤의 시장점유율은 9%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유럽은 바이오 에너지 산업을 육성하여 2010년까지 총 에너지의 12%를 바이오 에너지로 대체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농업과학원이 바이오 디젤 생산용 촉매합성 및 제조방법을 개발, 기술이전 하는 등 산업화를 선도하고 있으며, SK케미칼은 연산 12만 톤의 바이오 디젤 생산설비를 갖추고 본격적인 상업화 생산에 돌입하였다.
○ 바이오 디젤은 디젤연료보다 생산가가 높기 때문에 보급에 한계가 있지만 원유 가격의 상승에 따라 바이오 디젤의 경제성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의 전 세계 생산량은 액체 화석 연료를 대규모로 대체할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또한 일부 환경 단체, 특히 천연자원 보호 협의회에서는 더 많은 식물성 기름을 생산하기 위해 광범위한 재배가 이루어지게 돼 결국 과도한 비료와 농약의 사용을 초래할 것이라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고 있다.
- 저자
- Kenneth R. Szulczyka, Bruce A. McCarlb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426~2433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