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운영이 미국 서부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 산업분야에서는 고 유가에 대비하고 온실가스의 저감을 위하여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는 현재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클린 디젤자동차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그 이후에는 전기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미래형 자동차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하고 편리한 자동차를 의미하며, 2020년에는 300억 달러 이상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친환경자동차의 세계시장은 일본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미국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 유럽은 클린디젤 자동차와 수소연료자동차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일본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2010년에 150만 대가 생산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100km 이내의 거리를 배터리만으로 주행 가능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미국 GM의 Volt가 2010년 중 시판될 예정이다.
○ 2020년 자동차시장은 내연기관 자동차 50%, 하이브리드 자동차 30%, 클린디젤 자동차 11%, 전기자동차 9%의 시장점유율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2030년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33%, 전기자동차 23%, 수소연료 자동차 16%, 내연기관 15%, 클린디젤 13%로 시장점유율이 변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한국은 클린디젤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연료전지 자동차의 개발과 2차 전지 기술력 확보를 통해 선진업체와의 기술격차를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현대기아자동차는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를 2015년부터 양산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현재 친환경자동차의 국내 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76% 수준이며, 2020년에는 88% 수준으로 향상되어 1~2년의 기술격차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병행해서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산을 위해서는 전기자동차의 수시 충전을 위한 전력망의 공급이 검토되어야 한다.
- 저자
- Karel H. Jansena, Tim M. Brown, G. Scott Samuelsen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195
- 잡지명
- Journal of Power Sour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409~5416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