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기술
- 전문가 제언
-
○ 2010년 현재 국내 이동통신 기술은 3.5G에서 초고속 영상서비스 지향의 4G 상용서비스 시대로 진화하고 있다. 이 기술은 패킷 서비스 기반의 커다란 변혁기를 지나고 있는 국내 3G/3.5G/4G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
○ 프로세서, 메모리, OS(Operating System), 통신포트 및 디스플레이만 갖추어진 모바일기기라면 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출시되면서 Mobile app, Facebook, Twitter, UCC, Blog, Mobile SNS 및 Widget 등 다종다양한 사용자 중심의 모바일 서비스 산업을 재편하고 있다. 이 기술의 핵심인 도메인 네임 서버의 질의처리를 통한 효과적인 데이터 서비스 실행방법을 국내 이동통신 산업에 적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IMS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액세스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3GPP에서는 이의 구현을 위해 모바일 액세스 네트워크 특성에 적합하도록 프로토콜 확장을 수행하여 왔다. 이후 3GPP-Release 6에서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의 연동을 추가하였으며, Release 7에서는 고정 네트워크를 지원하여 네트워크 통합을 구축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통합네트워크구축 패러다임은 국내 3G~4G이동통신 서비스기술에 접목할 가치와 필요성이 있다.
○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산업분야 전 세계 시장규모는 2009년 1조 2,022억 달러에서 2013년에는 1조 4,806억 달러의 초대규모 시장형성이 전망된다. 이중 HW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76.3%에서 2013년에도 68.7%(1조 165억 달러)로 여전히 높은 비중과 아울러 모바일기기도 14.8%에서 21.3%로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반면에 SW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4월 현재 1~2%에 불과한 실정이어서 모바일 SW의 집중적인 개발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향후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 산업의 주도권은 SW 강자가 시장지배력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국내 이동통신 제조사 및 사업자의 기술혁신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ATT MOBILITY II LL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1137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2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