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이 섭취의 신경면역학적 측면

전문가 제언
○ 식이 및 영양소는 장의 신경 및 면역시스템의 기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세균의 다양성 및 기능, 장 운동성 및 생리학, 염증의 조절 등을 변화시키며 또한 기억과 행동 등의 두뇌 인식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현재 장과 두뇌의 중심축에 대한 관심사가 광범위한 개념적 체제까지 확장되고 있는데 장내 미생물군집체 및 면역, 내분비 및 신경계 모두가 잠재적으로 연루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식이와 영양소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어떻게 신경계 및 두뇌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연구에 장내 미생물군집체를 포함시키기 위하여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탐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숙주의 이득을 위한 이러한 시스템의 통합은 매우 복잡하지만 정의상으로는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지속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통합이 식이와 영양소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는 범위가 공개적으로 토론되고 있으며 보다 많은 입증자료를 기대하고 있다.

○ Interkingdom signaling이라는 용어는 세균과 그들의 숙주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기술하기 위하여 Hughes와 Sperandio(2008)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현재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러한 용어의 개념은 신경면역학(neuroimmunology) 내에 포함된 훨씬 복잡한 신체의 전체적인 상호작용에 적용이 가능하다.

○ 지연형 과민성 반응(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s)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면역 및 염증성 사건은 in vitro와 in vivo에서 L-fucose와 L-rhamnose 등의 단순한 탄수화물에 의해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glycobiology 분야는 향후 커다란 주목을 받으며 새로운 영양보충제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저자
John Bienenstock, Paul Forsythe, Khalil Karimi and Wolfgang Kunz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0(4)
잡지명
International Dai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3~258
분석자
정*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