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종양형성에서 microRNA의 역할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 1993년, C. elegance의 RNA-coding lin-4의 전사물이 protein-coding lin-14 발현을 조절한다는 연구가 miRNA(microRNA)가 세상에 처음 알려진 시초였다. 7년 후, 2000년에 두 번째로 알려진 작은 RNA let-7이 선충의 여러 유전자발현을 조절할 뿐 아니라 다른 종에 폭 넓게 보존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로서 유전자발현을 조절하는 작은 RNA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미국의 Andrew Fire와 Craig Mello는 RNA interference 연구로 2006년 노벨생리학상을 공동수상하였다. 한국의 V. Narry Kim(김빛내리)도 miRNA 연구를 활발하게 lead하고 있다.

○ MiRNA(~22 뉴클레오티드 길이)는 대상 mRNA의 3‘UTRs에 있는 상보서열과 결합하여 대개의 경우 유전자묵살을 초래하는 유전자의 전사 후 조절인자이다. 지금까지 700개 이상의 miRNA가 알려져 있다. 사람 유전체의 약 3%는 miRNA 유전자로 추정된다. 한 개의 단일 miRNA는 여러 개의 유전자를 조절하고 각각의 대상 유전자는 한개 이상의 miRNA에 의하여 조절되는 복잡한 network를 형성하여 유전자발현의 섬세한 균형을 조정한다. 사람 유전체의 약 3분의 1 이상이 miRNA에 의하여 발현이 조절된다고 생각된다.

○ MiRNA는 발생, 분화, 세포증식, 세포자멸을 포함하는 다양한 세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miRNA 발현의 변경은 암을 포함하는 여러 질병을 일으킨다. 선충과 초파리에서 초기에 발견된 miRNA들이 세포증식, 세포자멸에 관여하는 RNA들이다. 사람에서 발견된 miRNA 유전자의 많은 경우는 암에서 증폭되거나 삭제된 염색체 부위의 취약부분에 위치한다. 악성종양과 암 세포주는 정상조직에 비해서 훨씬 더 광범위한 miRNA 조절이상이 발견된다. 변경된 miRNA 발현이 암의 결과가 아니고 원인이라는 것도 밝혀졌다.

○ 암세포는 miRNA 유전자발현이상에 의존하고, 이는 다시 여러 종양유전자 또는 종양억제유전자를 조절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하여 조절되며, miRNA는 발암경로의 하류 표적물이기 때문에 상류경로의 성분과 달리 약물의 표적대상이 되기 쉬운(druggable) 장점을 가지고 있어 mi- RNA 기반 항암요법의 장래 전망을 밝게 열어준다.
저자
Di Leva, G, Croce, C, 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16
잡지명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7~267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