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전지시스템 산업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축전지시스템은 재생가능에너지의 도입확대에 따라 차세대에너지, 사회시스템 및 차세대 자동차 등에서 중요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관련 산업의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의 세계시장 규모는 2020년에 약 100조 원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일찍부터 축전지시스템의 기술개발에 참여하여 세계시장의 점유율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축전지시스템의 용도는 다양하며 요구 성능도 다르다. 따라서 계통용 축전지, 수요 측 설치용 축전지, 차세대 자동차용 축전지 등 3가지의 패턴을 의식하여 산업 전략을 책정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산업 전략과 축전지의 특성, 기술적인 과제를 비롯하여 외국의 동향 등을 소개하였다.
○ 축전지시스템은 재생가능 에너지의 도입확대에 따른 잉여전력의 대책, 풍력발전이나 대규모 태양광발전에서는 전력계통에 필요한 시스템으로 축전지시스템의 연구, 개발, 실증시험, 복수형태의 축전지시스템의 조합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근래 기술의 진보는 상상외로 빠르기 때문에 새로운 시스템, 비즈니스모델이 개발되어 축전지관련 산업의 성장은 계속될 것으로 기대한다.
○ 축전지시스템은 미국을 비롯하여 유럽, 중국에서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축전지 생산량에서 세계시장 점유율은 일본 다음으로 높다. 우리나라는 그린성장 국가전략을 책정하여 정부가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특히 리튬이온전지를 탑재한 소형 전기자동차는 일본에도 수출하고 있으며 축전지의 연구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 앞으로 축전지와 축전지의 부품재료 및 응용시스템에 관련된 산업은 상장가능성이 유망하다. 그러나 축전지는 고가이기 때문에 2차 이용, 3차 이용 등 다단계 이용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된 축전지는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정한 처리, 처분으로 자원 재이용 관점에서 사용된 축전지시스템의 재활용은 중요한 과제이다.
- 저자
- METI, Agency for Natural Resources and Energ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2010(5)
- 잡지명
- 資源エネルギ-廳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28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