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생 가능한 자원관리 - 해안 대수층과 해저 지하수 -

전문가 제언
○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수문 순환계가 파괴되지 않고 지하수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대수층으로부터 양수할 수 있는 지하수량으로 정의된다.

○ 수문 순환계의 파괴란 자연계에서 물이 강수, 지표수, 지하수, 증발산 등의 형태로 순환하는 체계의 균형이 파괴되는 것으로, 지하수의 과잉 취수로 인하여 발생되는 지하수원의 고갈 또는 인근 하천의 건천화 등을 의미한다.

○ 지하수 개발 가능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기상수문 식생, 토양, 지질 등과 같은 지하수 관련 자료가 필요하나,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정확한 지하수 개발 가능량 산정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 지속적으로 채수 가능한 최대수량은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 가능한 최대 수량은 115.7억m3/년(10년 빈도 가뭄 시 지하수 함량)이나 2000년 기준 지하수 개발?이용량은 31억m3/년으로 지하수 개발 가능량 대비 개발 이용량은 27% 수준이다.

○ 국내에서 물 부족으로 인하여, 연안 지하수 및 해저 지하수 개발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물 개발에 따른 구체적인 타당성 평가를 위해서 사회적인,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연안 및 해저 지하수 개발에 앞서 stock-to-stock 지하수 문제에 대한 "stock externalities"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Sittidaj Pongkijvorasin, James Roumasset, Thomas Kaeo Duarte ,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2
잡지명
Resource and Energy Econo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77~291
분석자
조*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