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러스 연구를 위한 상피세포 부교 배양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 바이러스 연구를 위한 1940년대 초에 이루어졌다. 세포배양을 바이러스의 증식에 이용하므로서 폴리오바이러스의 대량 증식이 가능하게 되어 백신제조가 시작되었다. 폴리오의 박멸에 세포배양 기술은 크게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바이러스들이 전통적인 단층세포배양 혹은 부유 세포배양 방법으로 증식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 본 레뷰에서 소개하는 상피세포 부교 세포배양 방법은 전통적인 단층세포배양에서 벗어나 3D 세포배양 시스템을 만들어 준다. 따라서 인체에 보다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줌으로서 전통세포배양 방법으로 불가능하던 많은 바이러스의 증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 상피세포에서 증식하는 바이러스의 대표적인 사례가 사람사마귀 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HP)이다. 이 바이러스는 현재 자궁경부암의 가장 큰 원인 병원체 중의 하나이며 재래적인 배양 방법으로는 증식되지 않아 항바이러스제 및 백신의 효능 평가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피부병의 하나인 폭스바이러스과의 올프바이러스, 모레스콤바이러스등도 잘 증식되지 않는 바이러스들이다.

○ 바이러스의 증식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세포배양 기술은 대단히 유용하고 경제적 가치가 큰 분야이다. 상기한 바이러스들 이외에도 A형 간염, B형 간염 등 많은 바이러스들이 실험관에서 증식이 극히 낮거나 증식 자체가 어렵다. 따라서 본 레뷰에서 소개하는 3D 부교 세포배양 등 보다 생체에 가까운 세포배양 기술을 개발하므로서 대량 증식이 가능할 가능성이 있다.

○ 일반적인 바이러스 진단 분야에서는 세포배양을 이용하는 것이 까다롭고 노동력이 소요되는 분야이며 가격이 높아 그 이용이 감소 추세에 있다. 그러나 병리학 연구, 항원 대량 생산, 감염성 여부의 시험 등에 대한 시험에서는 아직도 세포 배양의 적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보다 생체에 유사한 세포배양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는 학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그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3D 부교 세포 배양 분야에 보다 많은 관심과 국가적 지원이 요구된다.
저자
G. Andre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85(3)
잡지명
Antivir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31~449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