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조류 지질의 바이오디젤 잠재력 평가
- 전문가 제언
-
○ 미세조류 지질의 바이오디젤 원료 잠재력을 평가하려고 Haematococcus puluvialis의 지질(Lipid)과 스트레스 상태에서 보이는 조성을 분석했다. 대조구의 총 지질함량은 15.61%(건 중량)이고, 질소과량 배지(스트레스-A)나 질소과소 배지(스트레스-B)에 지속 노출시킨 세포의 지질은 각각 34.85%와 32.99%였다.
○ 각 조건의 지방산은 비슷하고 주성분은 팔미트, 스테아르, 올레, 리놀레, 리놀렌, 리놀레라이딘 산이다. 중성지방 함량은 스트레스로 두 배 가량 증가한다.
○ 단일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와 A(각각 20.07%와 19.91%)에서 별 차이가 없지만 B에서는 18.96%다. 다중 불포화지방산은 B와 A에서 각각 47.23%와 43.15%이다. 성장률은 B보다 A에서 높았다.
○ 지질과 오일의 다량생산 능력은 종이나 변종의 특성이다. 조류세포의 지질함량은 고염분도, 질소고갈, 고광도 같은 불리한 배양조건에 노출될 때 증가한다. 지질조성은 배양시간과 생활사 단계에 따라 다르다.
○ 속성성장, 생산 Strain, 지역 기후조건의 최적화 등은 바이오디젤의 저가생산에 기본적이다. 생물량을 높이는 양면배양은 영양이 충분한 배지에서 다량생산을 목적으로 저광도 배양을 할 수 있다. 야외 연못에서 높은 자연광도로 배양해야 한다.
○ 바이오디젤은 주로 농산물이나 농산폐기물로 생산하는 노력이 세계적인 추세이고, 곡물을 원료로 하는 것은 세계 식량수급과 곡물 값 안정 때문에 꺼리는 형편이다. 농산물을 원료로 하는 것은 일부 선진국에 국한하므로 다른 나라에서는 큰 제약조건이다. 따라서 제약을 크게 받지 않는 재료가 필요하며 이의 충족은 에너지 수급안정을 의미한다.
○ 우리나라도 이로써 에너지 자급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아직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국책사업으로 집중연구를 모색 중이다.
- 저자
- M. Cecilia Damian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101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801~3807
- 분석자
- 곽*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