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섬유기질로 혈당, 인슐린, 콜레스테롤, 체지방, 체중을 조절하는 방법
- 전문가 제언
-
○ 최근 정제된 탄수화물, 고단백, 고지방 식품 섭취가 늘고 섬유소 섭취는 줄게 되면서 생활습관병인 당뇨, 비만, 대장암 등 서구식 질병이 증가하고 있다. 식이섬유는 열량은 없으면서도 먹었을 때 포만감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에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에게 환영받는 식품이다. 비만 환자나 고지혈증 환자에게는 식이섬유가 대장 안에서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방이 흡수되는 정도를 낮추고, 당뇨병 환자에게는 식후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에 좋은 식품으로 권장되고 있다.
○ 수용성 섬유질은 물에 녹아 젤리 상태로 변하게 되는 섬유질로, 살구와 키위, 사과, 바나나 등의 과일, 양상추와 브로콜리, 오이, 당근, 무 같은 야채, 다시마와 미역, 김 등의 해조류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불용성 섬유질은 소화가 안 된 상태로 자신의 무게보다 거의 30~40배나 많은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변의 양을 늘리고 장의 연동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김치와 콩나물 등의 나물류, 고구마와 감자, 옥수수, 현미, 팥 등의 곡류와 대두, 된장, 녹두 등의 콩류, 버섯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 최근 PubMed의 보고에 의하면 Glucomannan과 폴리다당체와의 반응으로 생성된 점성 수용성식이섬유인 PolyGlycopleX(PGX)가 식후 혈당 강하를 보여 과체중이나 비만인 사람의 체중감소에 도움이 된다. 귀리, 보리 겨, 사탕수수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사가 식후 혈당, 인슐린 및 중성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 결과 수용성 총 섬유의 복용량에 따라 식후 혈당, 인슐린 및 중성지질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임상실험에서 특히 과실이나 곡물의 섬유 모두에서 일본 남녀의 심혈관질환에서 오는 사망률의 위험성이 감소함이 보고되었다.
○ 이상과 같이 식이섬유가 여러 가지 생활습관병에 유효하다는 것이 수차 보고되고 있으나 식물이나 질병에 따라 개별적인 결과에 그치고 있지 본 발명에서처럼 어떤 식이섬유 군이 종합적으로 각종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검토한 것은 새로운 시도이다. 앞으로 식이섬유의 종류와 질환에 따라 정량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저자
- UNICITY INTERNAT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3391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4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