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계를 앞서가는 식품용기 포장재

전문가 제언
○ 음식품, 의약품, 화장품 기타 여러 가지 물품을 충전 포장하기 위해 여러 가지 포장용 소재가 개발되어 있다. 포장용기도 종래의 포장개념에서 벗어나 식품 보존기간의 연장, 맛과 향의 유지 등을 위해 산소 등의 가스 투과성이 낮은 포장용기 등이 등장하였다.

○ 최근 산소가스 또는 수증기 등에 대한 차폐성 소재로서 플라스틱 필름 표면에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산화물을 사용하는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과 같은 물리적 기상성장법 또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성장법, 열화학 기상성장법 등을 이용한 투명한 가스 차폐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 이와 같은 투명 가스 차폐성 필름은 가스 차폐성은 우수하지만 플라스틱 필름과 무기산화물 사이의 밀착성이 약하고 내수강도가 낮기 때문에 레토르트 및 보일 처리에 의해 무기산화물이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플라스틱 필름과 무기산화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산화물을 증착하기 전에 플라스틱 필름 표면에 플라즈마처리를 하여 표면을 개질하고 있다.

○ 이 논문은 식품포장에 있어서 식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소, 빛 및 수증기 등을 차단할 수 있는 물리증착, 화학증착 기술에 의한 식품포장재료 제조에 대하여 기술하고 앞으로 차세대 용기 포장재료 기술로서 기대되는 DLC 성장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 국내에서도 가스 투과성이 낮은 나일론필름, 금속코팅필름, 다층필름 등이 생산 및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식품 포장용기 분야는 살균작용을 가진 이산화티탄 광촉매기술과 DLC 기술 등에 의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기업, 연구소 등이 이와 관련된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해야 할 것이다.
저자
Chimei Yosh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0(5)
잡지명
化學と工業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11~515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