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빙 라디칼 중합에 의한 정밀재료 설계
- 전문가 제언
-
○ 리빙 라디칼 중합은 라디칼 중합의 간편성과 범용성을 유지하면서 분자구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중합방법으로, 새로운 고분자재료의 합성에 커다란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리빙 라디칼 중합의 예로서 유기 텔루르화합물과 유기 비스무트 화합물을 개시제로 하여 리빙 라디칼 중합을 시키고 있다
○ 현재 전체 합성 고분자의 50% 가량이 라디칼 공정에 의하여 생산되고 있으며, 라디칼 중합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비닐계 단량체들을 현탁중합, 유화중합, 괴상중합 등을 통해 공중합하여 고분자 재료를 쉽게 만들 수 있다.
○ 리빙 라디칼 중합은 이온중합에 비해 조건에서 비교적 좁은 분자량 분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차원적인 구조를 가진 고분자를 합성하는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리빙 라디칼 중합의 종류로는 nitroxide-mediated polymerization(NMP),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ATRP), reversible addition fragmentation chain transfer polymerization(RAFT)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리빙 라디칼 중합은 고분자 구조체의 위상 및 분기 구조 등을 제어하여, star형, hyper-branch형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으며, semi-dilute 고분자 브러시에 비해서 독특한 구조와 성능을 갖는 기질들로 고밀도 그라프트 처리된 고분자 브러시의 생산을 가능케 하였다. 이 논문은 리빙 라디칼 중합의 반응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신규 재료를 설계하는 관점에서 고분자 구조체를 제조하는 리빙 라디칼 중합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있다.
○ 리빙 라디칼 중합을 통해 새로운 특성과 기능을 가진 고분자, 즉 구조가 잘 규제된 고분자 재료, 복잡한 블록공중합체의 합성 등 첨단의 고부가가치 고분자 재료를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학문상이나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Tsujii Yoshinob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9(6)
- 잡지명
- 高分子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20~424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