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이와 장의 신호응답 메커니즘

전문가 제언
○ 식이의 섭취는 내인성 및 외인성 신경회로의 활성화 및 조절 펩타이드, biogenic amines 및 지질 조정제(lipid mediators)의 방출을 포함하는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촉발시킨다. 조절 펩타이드 및 biogenic amines을 분비하는 장내분비세포(enteroendocrine cells, EECs)의 경우에, 감미와 고미 화합물, 그리고 지방산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GPCRs(G-protein coupled receptors)을 포함하는 세포질 변환 메커니즘이 확인되었다.

○ 미주신경의 구심성 신경은 대부분의 장 조절 펩타이드를 위한 일반적인 표적을 제공한다. 이러한 신경을 자극하게 되면 식이 섭취를 억제하고 장 기능을 통제하는 자율신경적인 반사행동(autonomic reflexes)을 활성화한다. 이들 신경은 신경화학적 표현인자형(neurochemical phenotype)의 예기치 않은 유연성(plasticity)을 사전에 나타낸다.

○ 식이의 투여를 중단한 쥐에서는 펩타이드 운송체(peptide transmitter)인 CART(cocaine amphetamine regulated transcript) 및 Y2 수용체의 발현이 억제되며, MCH(melanin concentrating hormone) 및 CB1, MCH-1 수용체의 발현은 증가하게 된다. 재급식에 따른 내인성 cholecystokinin의 방출에 의해서 이러한 변화는 반전된다.

○ 따라서 미주신경 구심성 신경의 신경화학적 표현인자형은 이전의 식이 섭취로 인하여 좌우되며, 이들 신경은 식이 섭취의 통제 및 소장으로의 영양소 전달과 연관된 정보의 통합을 위한 주변 부위를 제공하게 된다.
저자
Graham J. Dockra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0(4)
잡지명
International Dai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26~230
분석자
정*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