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분야의 최근 사출성형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1966년도에 미 캘리포니아주의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법이 만들어진 이후로 1975년에는 이 규제법이 미국 전역으로 확대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서서는 사람에게는 무해한 CO2에 대한 총량규제가 예고되는 등 CO2 배출 문제가 자동차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더하여 지금은 보다 근본적인 문제인 지구 온난화 관련 이산화탄소 발생 감소 대책, 더 나아가 지구 환경보호 차원에서의 환경대책까지 대두되어 미래 자동차 산업에 대한 장기적이고도 근본적인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시점임은 분명하다.
○ 그동안 전 세계의 자동차업계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차량의 소형화, 경량화, 주행저항 저감, 초저연비 구현, 고효율 동력 장치 개발 등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여 왔다. 자동차를 구성하는 3대 재료의 하나인 플라스틱 업계도 사출성형 업계와 함께 자동차업계가 당면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동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효율 동력 장치나 연료전지 전기 자동차 같은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 같은 수지업계 이외의 기술 개발은 별도로 하더라도 플라스틱 분야도 신소재의 개발, 새로운 성형가공 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미래형 친환경 자동차를 개발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도 자동차 생산 기술은 상당한 수준에 올라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기초 공통기술 분야에서 한 차원 높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더 나아가서 프로세스 개발 같은 응용기술 개발이나 양산 시스템 개발에 더 관심을 가지고 관련 분야가 서로 협력하여 기술개발의 시너지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Mamoru Sakaga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9(5)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28
- 분석자
- 이*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