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도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원자력 및 청정석탄기술

전문가 제언
○ 인도는 중국과 함께 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에서도 경제성장이 매우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개발도상국이다. 인구가 많고 경제성장률이 높은 것에 비례하여 에너지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현재 발전용량은 140GW인데 2015년까지 매년 10%의 급격한 증가율이 예측되고 있다.

○ 현재 인도는 기후변화협약의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이 아니지만 에너지 수요가 높고 CO2 배출량이 많은 만큼 국제사회로부터 CO2 감축 압력을 받고 있다. 즉, 에너지안보 측면에서 친환경적인 새로운 에너지원을 개발해야 할 상황이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나가야 할 입장이다.

○ 본보고서는 원자력과 청정석탄 기술이 인도의 미래에너지 시나리오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MARKAL 모델로서 분석하고 있다. 원자력과 청정석탄 기술만으로는 지속 가능한 전력개발이 불가능하고 에너지효율의 개선을 통해 에너지 수요를 감소시켜 나가야만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2045년까지 CO2 배출량을 현재 추세에 비해 70% 감축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 MARKAL 모델은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에너지 시나리오를 분석할 수 있는 모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이 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라마다 에너지 사정이 다르고 기술의 정도가 다르므로 에너지 시나리오의 전제조건도 달라야 할 것이며 결과적으로 나라별로 고유한 결론이 도출될 것이다.

○ 원자력의 경우에 인도는 중수로기술을 자립하였으나 소형 중수로이기 때문에 경제성이 낮아 최근에는 500MW의 개량형 중수로를 개발하고 있다. 한편으로 경수로를 외국에서 도입한다는 전제 하에서 미국, 소련, 프랑스 등과 원자력협정을 체결하고 부지별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인도와 마찬가지로 미래에너지 시나리오에서 원자력과 청정석탄 기술을 고려하고 있으며 에너지효율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약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CO2 감축에는 에너지효율 개선과 에너지 절약정책이 가장 큰 효과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저자
Subhash Malla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031~3039
분석자
이*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