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DPP-4억제제 투여 시에 유의해야 할 환자

전문가 제언
○ GLP-1이나 포도당 의존성 GIP(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와 같은 호르몬인 Incretins는 인슐린분비를 조절하는데 GLP-1은 글루카곤분비의 억제와 인슐린합성 및 췌장 β세포의 신생을 자극하며 특히 GIP는 위배출을 느리게 하여 식욕을 줄인다. 이들 GIP와 GLP-1은 매우 빠른 활성 때문에 극히 짧은 혈장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 이 대사를 담당하는 효소가 DPP-4이다. 이 효소는 혈장이나 뇌척수액과 같은 체액 속에도 존재하면서 GLP-1과 GIP를 매우 신속하게 불활성화한다. 그러므로 DPP-4의 억제는 내생적인 GIP와 GLP-1의 기능을 증가시키므로 2형 당뇨병의 치료를 향상시킨다.

○ 그러나 DPP-4는 외분비 췌장, 땀샘, 침샘과 젖샘, 흉선 등의 조직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기관의 내피조직의 원형질막에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DPP-4를 전신적으로 억제하게 되면 GLP-1과 GIP의 기능증가를 가져오는 반면 다른 조직이나 기관에서는 오히려 DPP-4억제로 DPP-4효소의 부족에 의한 부작용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DPP-4억제제가 전신적이 아니라 특정한 조직이나 기관에서만 억제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식사 중에 GLP-1과 GIP는 소장에서 맥관계로 방출되므로 소장의 내피조직에 있는 DPP-4만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전달 시스템의 개발 등 선택적 억제작용에 대한 연구에 국내 산학계의 보다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Miuch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61(6)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41~2545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