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베이스 폴리머의 기능화

전문가 제언
○ 지구 온난화 방지가 범지구적 현안 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각국의 산업정책은 재생가능 자원의 보급에 노력해 왔다. 이에 최근 사용이 급증(2010년 세계 연간소비량 214,000t 추정)하는 바이오베이스 폴리머는 원료전환, 미(저)이용 자원의 활용 제고를 통한 원료의 다양화와 함께 구조재료가 아닌 고기능성 재료로서의 지위를 확보해 갈 필요가 있다.

○ 이에 이 리뷰는 바이오베이스 폴리머의 원료인 생물자원에 대한 다양한 선택 중간물질을 예시하고, 이들을 바탕으로 한 고기능성 폴리머의 최근의 합성공정 및 응용 사례를 열거함으로써 앞으로 바이오베이스 폴리머에 대한 고기능성 고분자로서의 응용 확대 가능성을 제시했다.

○ 바이오베이스 폴리머의 세계 특허출원 동향(1995~2006년)에 따르면 기술구분별 출원 건수에서는 일본은 용기 및 포장 자재 관련 건이 가장 많고 비교적 폭넓은 분야에 출원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은 의료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은 학계에서는 KAIST와 서울대가, 업계에서는 삼양사, Toray Saehan Inc 등이 활발히 연구를 진행 중이다. 특히 삼양사는 중국에도 관련 분야의 특허 출원을 활발히 하고 있다.

○ 앞으로 바이오베이스 풀리머는 생분해성보다도 탄소중립성에 비중을 두고 시장 투입될 전망이다. 따라서 내구성이 더 많이 요구되는 분야로 용도가 전환될 것이므로 기존 제품과의 경합에 이기기 위해서는 고기능화, 실용성의 향상이 필수적이다. 즉 물성 면에서 뛰어난 신규 바이오베이스 폴리머의 개발, 기존 바이오베이스 폴리머의 고성능화가 고기능성 제품 개발의 관건이다. 물성 개선과 고기능화, 실용성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로는 공중합화, 블렌드화, 첨가제 등의 사용이 가장 일반적이다.

○ 한편 원료의 다양화 추세 강화에 따라 여러 종류의 바이오베이스 폴리머 제품이 계속 등장하고 있으므로 폴리머 제품 중에 포함되는 바이오매스 유래 성분의 비율, 즉 바이오매스도의 효과적인 정의나 신뢰성이 높은 측정법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KEIGO AOI, NORIYOSHI MATSUM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6(4)
잡지명
纖維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4~128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