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학습 평가 기술
- 전문가 제언
-
○ 최근 기존의 e-learning 프레임에 무선 모바일 기술이 접목되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U-learning 시스템 구축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에 교수와 학습의 첨단 인프라와 양방향의 협업 플랫폼을 구축하고 프로세스를 혁신하여, Web 2.0 이후 비용 대비 효과적인 학습모델 개발이 절실한 시점이다.
○ 2009년 국내 e-learning 시장규모는 2조 719억으로 2008년 대비 11%가 증가하였으며, 2010년에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4년 기준으로 개인 7.2%, 사업체 10.9%, 정규 교육기관 48.7%, 정부 공공기관 11.6%의 평균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 SNS와 융?복합기기를 활용하는 교수-학습모델링 적합기술, 플랫폼 설계 및 서비스 구성기술 분야를 대상으로 연구개발을 통한 교육 정보의 융합서비스 구현모델 출시의 가속화가 필요하다.
○ 교육정보의 융?복합서비스 유형은 종래 SCORM을 기반으로 한 LMS /LCMS의 교육 및 지식 정보 공유체계와 지원체계의 구현중심에서 Web 2.0 기반의 서비스기술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디지털 학습도구의 현실적인 융합 콘텐츠 개발 등을 고려한 미래지향적 교수-학습체계 설계가 요구된다. 아울러 가용 자원을 동시에 고려하여 융?복합서비스 인프라의 고도화와 경제성을 추구해가야 한다.
○ 2009년 e-learning 실태조사에서 개인의 학습 장애요인이 학습 집중력 저하와 상호 커뮤니케이션의 불편으로 나타났다. 단체의 개선요인이 필요 콘텐츠의 부재와 교육효과 측정도구의 부재로 나타나고 있음은 이 기술의 현황에서 지적한 바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 점에 집중하여 정부의 정책 전개와 상용화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자가 학습 시스템의 상호 작용성 기능 개발과 평가콘텐츠 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SHANGHAI XYZ KNOWLEDGE TECHNOLOGY CO.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6534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72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