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인식 컬러이미지의 보간 방법
- 전문가 제언
-
○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으로 U-life의 사물인식 기반의 식별 요구가 확대되면서 광학코드 중 데이터매트릭스, 이지코드, QR코드 등 2D바코드와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개방형 표준으로 제시된 광학코드는 QR코드가 유일하여 QR코드의 수요증가가 예상된다. 기존의 1D/2D 바코드 스캐너나 리더기는 주로 CCD 및 CMOS 기반의 이미지 프로세싱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 능력을 가진 외국의 특정 대형 전문업체들이 시장을 지배해 왔으며 기기 중심의 변화를 주도해 나가고 있다.
○ 국내의 2D 및 그래픽이미지 인식기기 시장은 주로 수입유통 벤더 중심의 한계를 갖고 있었으며, 주요 포털이나 이동통신사의 모바일의 바코드 적용 비즈니스는 그간 수요가 저조하여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산업동향을 볼 때 이에 전략적인 시장 및 기술 대응 연구가 시급하다. 해외 스마트폰, 카메라 및 부품업체들은 이미지 프로세싱 관련 소프트웨어와 인식 알고리즘의 상용화를 가속화 하고 있다. 주요 광학코드 인식기기 부품 및 제품 수입국인 국내의 복합대체기기 연구 및 인식 알고리즘 개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컬러이미지 센서 어레이를 통한 이미지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처리과정인 컬러 보간의 간단한 방법은 양쪽 선형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으로서 보간 대상 픽셀의 전/후/좌/우에 위치한 동일한 컬러를 갖는 픽셀의 컬러 값들에 대해 평균적인 보간 대상 픽셀 값으로 보상한다. 이 방법은 구현이 단순하나 복원된 에지에서 컬러의 에러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어 이 기술에서 0~45도 사이의 범위에서 가장 적은 수평 수직 경사각을 갖는 에지방향을 선택하여 레드와 블루 컬러에 대해 그린 컬러를 보간한다.
○ 이와 같이 다양한 컬러 보간 기법의 계속된 연구와 특허 출원은 바람직하나 보간된 영상의 품질 향상, 편이성 및 경제성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아울러 에지 방향성과 이미지 세분화로 컬러 오류를 최소화하는 알고리즘 개발이 강구되어야 한다. 향후 사용자 수준의 이미지 인식에 대한 정확도 및 처리속도가 성능의 주요소가 될 것이다.
- 저자
- DATALOGIC SCANNING,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5944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7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