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주공장 술지게미의 이용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도 해양환경관리법이 2007년에 제정 공포되었다. 1997년에 설립된 한국해양환경오염 방제조합이 해양환경관리공단으로 개편되어 운영 중에 있는데, 이도 또한 해양환경관리법에 근거한 것이다. 산하에 해양환경기술센터를 두고 교육 훈련 및 연구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는 직접적으로 해양환경에 압박을 주는 식품산업 단지는 많지 않으나, 식품가공업으로 인한 수질오염 문제는 과거로부터 여전히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로 남아 있다.

○ 공장의 식품폐기물은 그대로 폐기될 것이 아니라 지구 환경을 위하여 유용한 이용처를 찾아야 하는 필연성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이 논문은 폐기될 것을 거두어 건강 기능 식품의 소재로 탈바꿈하게 한 경우이므로 흥미롭다.

○ 우리나라에도 이와 같이 식품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분야의 연구 활동이 일본과 동등한 정도로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해양 오염까지는 아니더라도 식품공장 부산물이 하천의 수줄오염원이 될 소지는 많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 학계의 지금까지의 주정폐기물(술지게미와 유사)에 대한 관심은 주로 바이오 가스 등 에너지 관련 연구이거나 유기산 생산 등에 관한 것이 많았다. 역시 환경 문제와 폐기물의 자원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보다 농후하고 유해물질 오염을 염려하지 않아도 될 식품폐기물이라면 자원화 하기가 용이할 것이며, 보다 고형물이 희박한 유기물이라면 자원화보다는 공해를 줄이는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한 가지 기대가 되는 방향은, 보다 농후한 식품폐기물이거나 주정 폐기물이라면 유기산이나 바이오 가스로의 이용도 한 방안이 될 수 있겠으나, 농후 식품폐기물이라면 보다 고가의 유용물질로의 전환 이용도 검토해 볼 만한 연구 대상으로 생각된다.
저자
HORITA Sachik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52(4)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9~56
분석자
남*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