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적 스키마의 테스팅 접근방법
- 전문가 제언
-
○ 소프트웨어 테스팅(testing)의 목표는 소프트웨어 실패를 유발시켜 그 결함을 드러내려는 것이다. 즉 프로그램을 테스트하는 것은 프로그램을 실패하도록 만들어 결함의 존재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테스팅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완전성을 검증하는 하나의 중요한 절차이다.
○ 개념적 스키마는 소프트웨어의 실제 개발에 앞서 개념과 그들 관계를 명세하는 일종의 도표(또는 지도)이다. 여기서는 개념의 조직체계의 의미를 서술하고 이들의 관계특성에 대한 “사실명시(assertion)”를 서술한다. 조직체계는 일종의 엔티티(entity) 클래스로 볼 수 있으므로 개념적 스키마는 결국 이들의 의미와 관계성을 나타내는 데이터 모델링인 셈이다.
○ 개념적 스키마의 테스팅은 이들이 과연 실행 가능한가를 검증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념적 스키마의 테스팅은 하나의 소프트웨어로서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모든 절차에 따라 검증되어야 한다. 이 검증에는 도메인에 대하여 정의된 개념(지식)의 진위를 따지는 정확성과 모든 적절한 지식이 정의되어 있는가를 보는 완비성이 주가 된다.
○ 이 논문에서는 개념적 스키마의 테스팅을 위한 5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UML(Unified Modeling Language)과 OCL (Object Constraint Language)로 기록된 스키마의 자동화 테스트를 위한 언어인 CSTL(Conceptual Schema Testing Language)을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언어를 써서 테스팅 방안을 구현하고 사례를 통하여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 소프트웨어 산업이 국가 경쟁력의 한 축으로 대두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의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체가 되는 개념적 스키마의 구현과 그의 검증을 위한 테스팅에 관련된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분야에 관련된 연구가 학계에서 많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 제시된 미래 연구는 이 분야의 연구에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 저자
- Albert Tort, Antoni Oliv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69
- 잡지명
- Data & Knowledge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98~618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