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케톤식이 : 노화 두뇌에서 유망한 잠재력이 있는 항간질제 치료

전문가 제언
○ 케톤식이(Ketogenic diet)는 혈액의 케톤체 수준을 올려서 전신의 케톤증(ketosis)을 유도할 수 있는 고지방과 저탄수화물의 음식물 섭취이다. 거의 한 세기 동안 소아의 간질 치료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된 케톤식이는 최근에 암, 비만, 당뇨병, 포도당 운반 단백질 1(GLUT1) 결핍, 저산소증-국소빈혈, 외상의 뇌손상 및 신경퇴행에서 유익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 케톤식이가 노화하는 동안 어느 정도 효능을 유지한다고 많이 지적할지라도 두뇌에 의하여 케톤체 이용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혈액 수준, 운반 기작, 이화작용 효소)은 변화를 겪는다. 연령과 관련된 신경퇴행성 질병에 의해 영향을 받은 환자(알츠하이머병 및 파킨슨병)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다른 치료의 효능에 비하여 케톤식이의 효과에 새로운 관심사를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이 임상 결과의 근본적인 기작을 이해하고 가능한 부작용을 구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 그러나 성장만기인 쥐의 신경접합부에서 신경세포의 취약성이 연령에 의존하는 것과 같이, 케톤식이의 결과가 서로 다른 두뇌 부위에서 정반대로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한다. 그러므로 단 하나의 신경퇴행성 질병에서 특별히 나타난 케톤식이의 효과를 노화의 전반적인 과정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따라서 간질 관리와 신경보호를 위하여 신경접합부 수준에서 케톤식이로 유도된 형태학적 변화의 근본 기작이 구명되어야 한다. 아울러 두뇌 장애의 개선을 위하여 케톤식이가 신경접합부의 가소성을 포함한 분자과정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들의 관련성 조사에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Marta Balietti, Tiziana Casoli, Giuseppina Di Stefano, Belinda Giorgetti, Giorgio Aicardi, Patrizia Fattorett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9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73~279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