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박막 리튬이온 폴리머 이차전지의 전망

전문가 제언
○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안전성 향상과 저가격화를 목적으로 고체전해질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이 보고서는 고분자 고체전해질을 사용한 박막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기술개발 현황을 검토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LG화학, Samsung SDI 및 SK Energy 등과 같이 우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업체들을 보유하고 있는데, 모두가 겔 폴리머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상품화하여 성공한 기업들이다.

○ LG화학은 연간 6만 대의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를 공급할 수 있는 LG화학/CPI 미국 공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정부로부터 1억 5천만 달러의 예산 지원을, Michigan 주로부터 1억 3천만 달러의 세금공제 혜택을 받고 있다.

○ 특히 LG화학은 미국의 양대 자동차 제조업체인 GM과 Ford에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의 납품계약을 체결하였고, 2010년 7월 15일의 LG화학/CPI 공장 착공식에는 미국의 Obama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여 축사를 함으로써 우리나라 이차전지 제조업의 위상을 높인 바 있다.

○ 세계적인 휴대형 전자기기용 리튬이온 공급업체이고 우리나라의 경쟁업체들인 Panasonic과 Sanyo, NEC 등의 일본 기업들은 양산체제를 완비하여 저가격의 실린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팩과 안전장치를 조합시킨 전기자동차의 전원용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이미 시판하고 있다.

○ 또한 일본의 이차전지 기업들은 전동자동차 분야의 선두기업인 Toyota, Honda, Nissan 등의 완성차 제조업체들과 밀접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세계시장에 진출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도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시장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15조 원의 자금을 조성하여 선진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는데,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국공립 연구기관과 실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기업들 사이에 치밀한 협력관계가 형성되어야 성공할 수 있는 분야라고 사료된다.
저자
K. Kana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0(6)
잡지명
機能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6~11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