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머 전해질의 리튬-공기 이차전지용 복합전극
- 전문가 제언
-
○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고용량 이차전지의 저가격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 혁신적인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리튬-공기 이차전지가 대표적인 기술이다. 이 기술은 오랫동안 개발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 일본 정부는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실용화 시기를 2030년 이후로 전망하고 있으며 기초연구부터 시작하는 기술개발 계획을 세우고 연구조직을 구성하였다. 미국 정부도 유사한 조직을 구성하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이 보고서는 수용액 계통 전해질을 사용한 리튬금속-공기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복합음극의 특성과 기술현황을 보고하고 있다. 특히 리튬-공기 이차전지에서 가장 큰 과제였던 음극에서의 리튬 덴드라이트(dendrite)의 형성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밝혀낸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또한 고체전해질의 실용화에는 아직도 많은 과제가 남아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 전기자동차용 대용량 이차전지의 실용화 경쟁은 이미 세계적으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휴대형 전자기기용으로 개발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산화를 통한 저가격화, 대용량 리튬이온 양극소재와 음극소재의 개발을 통해 고용량-저가격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움직임, 그리고 이 보고서와 같이 혁신형의 리튬-공기 이차전지 개발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 기술 혁신에는 여러 가지 방향이 있을 수 있겠지만 소재의 혁신과 자급률 향상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 개발도 증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정부와 기업 및 학계에서도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의 기술개발 방향을 현명하고 세밀하게 세워나가기를 기대한다.
- 저자
- N. Imani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30(6)
- 잡지명
- 機能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3~41
- 분석자
- 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