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매 성숙에서의 일산화질소 : 동향과 기회
- 전문가 제언
-
○ 수확한 과일의 생명을 조절하는 데 에틸렌 모니터링은 중요하다. 에틸렌에 반대 작용을 하는 일산화질소(NO)의 개념은 새로운 것이다. 식물호르몬으로 조절되는 NO 생리학에 대하여는 성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발육과 스트레스 화학에 대해 광범위하게 보고되었다.
○ 과일성숙에서 NO 생물학에 관한 연구와 다른 신호 분자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는 NO 적용으로 상당한 상승효과를 달성하는 방법을 시사하고 있다. 과일의 성숙에 관련된 에틸렌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데 NO가 관련될 수 있다는 논증에 초점을 둔 시험들은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리뷰에서는 이 문제가 주제이고 다른 1차, 2차 신호와의 NO 복잡성의 추정적인 기전을 가정하였다. 내생적 NO 유도는 목표 조직으로의 정확한 분배를 위해 다양한 생물공학적 기회를 열어줄 수도 있다. 그러나 NO의 반응이 높아 생물학적 품목에서 NO의 분배는 매우 큰 도전이고, 형식을 개발하는 데는 전략적 방법이 필요하다.
○ NO 공여 화합물의 적절한 선택과 처리농도 및 기관에의 효율적인 NO 분배는 저장조건과 함께 과일의 유통기한 연장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숙에서 NO 관련성을 밝히는 데에 집중된 연구가 생화학적 결과에 대한 몇몇 통찰은 갖추었더라도, 포괄적 유전적 조절에 대하여는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NO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노르아드레날린 활성을 감소시켜 교감신경계의 반응성을 둔하게 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인체의 피해를 경감시키고, 혈관 벽 세포에서의 NO 생성은 혈관 벽을 확장시킨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품과 관련된 NO 연구는 비교적 많으나 식물의 성숙과 노화에 관련된 것은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한데, 특히 선진국과 대등한 유전자적 접근이 유력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G. Manjunatha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8
- 잡지명
- Biotechnology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89~499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