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흡착에 의한 희귀금속의 회수
- 전문가 제언
-
○ 가전, 자동차 등의 부품은 물론, 석유정제, 석유화학, 의약품 제조, 공해방지 등에 사용되는 수많은 촉매에서 많은 양의 희귀금속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폐자원 자원으로부터 희귀금속의 분리 회수는 공해 문제뿐만 아니라 자원의 리사이클의 입장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금속성분을 포함한 폐기물을 이용하여 희귀금속 자원의 보존과 재자원화를 목적으로 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한편 정보기술(IT) 제품의 소형화가 빠르게 진전되면서 첨단산업 분야에서 희귀 금속 확보의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로, 정부에서도 올해 16개 금속자원을 시작으로 2014년까지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61개 금속자원에 대한 ‘물질흐름분석’ 통계를 작성하는 계획을 추진하는 등 희귀금속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 희귀금속 회수사업은 일본의 경우 희귀 금속 사업자들의 매출 가운데 절반가량이 버려진 가전제품 재활용에서 나올 정도로 활성화되어 있고, 국내에서도 LS와 SK가스 등 일부 대기업이 사업 확장을 꾀하는 등, 앞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희귀금속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련 산업이 한층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습식 및 건식야금법의 단점인 처리비용 및 효율, 그리고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획기적인 방법으로 생물학적 흡착체를 이용한 희귀금속 회수법을 개발하기 위한 실험실적인 연구 성과는 많이 발표되고 있지만, 실제의 산업폐액으로부터 희귀금속을 회수하는 상용화기술 개발은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단계로 앞으로도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국내에서도 종래의 이온교환, 용매추출, 응집, 착염화, 막분리, 화학침전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습식 야금법에 의한 산업폐기물로부터의 희귀금속 회수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그 실용성에 한계가 있는 바, 앞으로 생물학적 흡착체를 사용하는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새로운 회수법의 개발은 국가적인 관심사로 매우 유망한 연구 분야로 생각된다.
- 저자
- Nilanjana Da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103
- 잡지명
- Hydrometallu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0~189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