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MicroRNA에 의한 신호전달의 조절

전문가 제언
○ 국내에서는 서울대학교의 김빛내리 교수가 이 분야 연구의 선두주자이며 사실상 세계적인 업적을 내고 있다. 초파리의 몸 크기를 결정하는 데 miR-8이 관여한다는 Cell paper는 놀라운 연구결과로 평가된다. 이 밖에도 최근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들이 100여 편 이상 발표되고 있다.

○ miRNA가 만들어지는 과정의 골격은 연구가 되었으나 각 단계별로는 아직도 많은 의문점이 남아 있고 이들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로 판단된다.

○ pri-miRNA와 Drosha complex의 형성과정, pre-miRNA와 Dicer complex의 형성과정들은 4D electron microscopy를 이용하여 atomic level에서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miRNA의 기능들이 여러 가지가 제시되고 있으나 본 리뷰에서와 같이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한다는 사실은 많은 점을 시사한다. 학문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들이 많음은 물론이지만 특별히 새로운 의약품 개발의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여지가 많다는 것이다.

○ 특별히 국내에서도 이 분야에 세계적 기초연구가 수행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새로운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여 신약개발에 매진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전략이라고 판단된다.

○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특정한 oncogene들의 발현을 억제하는 miRNA가 발현되는 세포를 만들어 질병치료에 이용하는 문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연구개발 분야이다.

○ 화학합성을 통한 기능적 miRNA 유사체를 신약으로 개발하는 과제를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저자
Masafumi Inui, Graziano Martello and Stefano Piccol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1
잡지명
Nature Reviews Molecular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52~263
분석자
김*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