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위성의 우주 시험

전문가 제언
○ 나노인공위성은 발사되는 인공위성의 무게로 구분한 개념이다. 1kg 미만을 피코(pico) 위성, 1~10kg은 나노, 10~100kg은 마이크로, 100~1,000kg은 소형위성 1톤 이상은 중대형 위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통신과 방송용 위성은 주로 중대형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고 상대적으로 소형위성은 비용 대 효용 면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어 군사용, 우주용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 논문에서는 항해하는 선박에서 방송하는 AIS 신호 메시지를 탐지하여 선박의 운항관리 및 국가 안전과 환경 등에 적용하고자 하고 있다. 캐나다의 UITAS/SFL 지상국과 NTS의 교신을 통하여 나노위성의 우주선 시험을 시도하였고 COM DEV 수신기를 사용하면 상용 수신보다 메시지 수신에 있어 우월함을 보이고 있다.

○ 즉 광범위한 해역에서 선박 인식을 위한 나노 위성의 사용에 대하여 가능성 타진을 위한 실험 수행한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메시지 간의 충돌에도 불구하고 일정시간 관찰을 통하여 선박 인지가 가능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나노 위성이 태생적으로 갖고 있는 작동시간과 전송 속도에 대한 제한을 받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1982년 우리별 1호를 발사를 시작으로 인공위성 보유국이 되었다. 최근에는 천리안이 해외 기술에 의한 발사 성공으로 정지 궤도 위성으로 업무를 수행할 것이다. 우리 별 1호는 무게 48.5kg 이었고 이번의 천리안 위성은 통신 해양 기상 관측 위성으로 무게 약 2.5톤의 중?대형 위성이다. 또 나로호에 탑재되었던 과학기술 위성 2호의 무게는 99.4kg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우리의 위성은 무게로 분류해 보면 마이크로에서 중대형으로 가고 있다.

○ 반면에 나노 급에 관한 것은 특별히 발표된 바 없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나노 위성은 위성 군을 이루면서 고유한 임무 수행이 가능하며, 전반적으로 위험이나 예산 면에서도 비교적 부담이 적다. 해외에서는 대학 위주로 연구도 진행되는가 하면, 미국의 DARPA에서도 최신 기술로서 우주용 및 특수 목적용으로 개발하고 있다.
저자
Elliott Coleshill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66
잡지명
Acta Astronautica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475~1480
분석자
이*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