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운전기간 연장에 수반된 노심설계상의 과제와 대응

전문가 제언
○ 원자력발전소는 건설기간이 길고 초기투자비가 일반 화력발전소에 비하여 월등히 높으나 운영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연료비가 화력발전에 비하여 대단히 저렴하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는 가동하면 전 출력(full power)으로 24시간 가동한다. 핵연료가 연소됨에 따라 일정한 운전기간 후에 핵연료교체를 위한 핵연료 재장전 운전정지(Refueling shut down outage)를 하게 된다.

○ 운전정지 기간이 원자력발전소의 가동률을 저하시켜 최대한 핵연료 재장전 운전정지 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한편 핵연료 재장전 운전정지 주기를 12개월에서 18개월 또는 24개월로 연장시키면 그만큼 운전정지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미국에서는 당초 일본과 동일한 약 1년간의 운전기간이었으나 1990년대부터 19개월 또는 24개월로 운전기간을 연장하여 설비이용률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원자력안전?보안원에서 제시한 보전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는 검사 도입에 대한 신 검사제도(2008년 6월)의 방침에 토대를 두고 원자로의 운전기간을 연장하는 경제산업성령이 2008년 8월에 개정되어, 2009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이 개정에 의하여 단계적인 운용이 되나 정기검사 기간을 18개월 또는 24개월까지 연장할 수 있게 되어 그에 수반하여 운전기간도 각각 정기검사 간격을 상한으로 하는 기간까지 연장할 수 있게 되었다.

○ 일본에서도 이미 운전기간을 13개월과 16개월로 한 경우가 각각 60 및 72회 정도 있다. 이와 같이 16개월 운전에서는 대부분의 연료가 3사이클이 사용되어 현행 노심과 동등한 연료운용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앞으로 노심 재설계에 의한 운전기간의 연장이 기대된다.

○ 우리나라는 운전기간의 연장과 운전정지 기간의 단축 그리고 계획에 없는 불시 운전정지 수를 줄여서 세계 제일의 원자력발전소 평균 가동률(9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런 실적이 UAE에의 원전수출로 이어지게 되었다. 앞으로 터키, 필리핀 그리고 아르헨티나 등으로 원전수출이 기대된다.
저자
K. harada, K. Asa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52(5)
잡지명
日本原子力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85~289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